Wednesday, January 30, 2019

Wear Sunscreen

이제 우리는 꺾였잖아.

이 말을 제일 많이 한 건 우습게도 대학교 2학년때였다.
1학년이 아닌 이상, 게다가 재수로 들어왔으니 나는 꺾인 게 아니라 거의 바닥을 뚫고 들어갈 체력과 피부와 건강상태라고 그때는 생각했다.

술을 마실 때도 우린 꺾였어, 밥을 먹어도 우린 꺾였어.

무언가를 하는데 머쓱하는 순간 '난 꺾였어' 이 말로 어색함을 무마하던 그 모습이 지금 생각해보면 참 이상하기도 하다. 

그렇게 나이에 얽매이게 된 순간부터 나는 항상 모든 순간이 어색했던 것 같다. 
남들보다 고작 한 학기 정도 늦은 3학년 2학기에 교환학생을 갔을 때도
"내 나이에 어떻게"

졸업을 미루고 영국으로 갔을 때도
"이제 내 나이가 이런데"

하면서 모든 순간에 나이를 방패삼아 내 스스로를 항상 80%정도의 존재로만 만들었던 것 같다. 나는 나이가 있으니까, 혹은 나는 나이가 많으니까 하면서. 그걸 핑계삼아 나는 약간씩 뒤로 빠졌고,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이 마치 나이의 미덕인 거 마냥 몸을 사렸다.



어느 순간 그런 것에 무뎌졌다. 내 또래집단과 멀어지고 나니까 초월하게 되었다고 보는 게 더 적확할지 모르겠다. 그냥 체력은 마음 먹으면 20km를 뛸 수 있는 정도? 상대적 기분이 아니라 뭔가 실제적인 현재의 지표를 가지고 생각하기로 했다. 

Your choices are half chance. So are everybody else's.

Enjoy your body. Use it every way you can. Don't be afraid of it or of what other people think of it. It's the greatest instrument you'll ever own.
Do one thing every day that scares you.
Do not read beauty magazines. They will only make you feel ugly.

Accept certain inalienable truths: Prices will rise. Politicians will philander. You, too, will get old. And when you do, you'll fantasize that when you were young, prices were reasonable, politicians were noble and children respected their elders.
https://www.chicagotribune.com/news/columnists/chi-schmich-sunscreen-column-column.html


한동안 여행자의 마음으로 살 때는 가방 하나에 물건 있으면 되겠지 하고 가볍게 살았다.
그게 다시 일년이 지나고 이년이 되고, 다시 뿌리내리기로 마음먹으면서 갑자기 한 짐이 되고 방 한가득 차기 시작했다. 

아직은 잃을 게 없으니까, 이런 말을 많이 했다. 그러면 잃을게 많아지면 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걸까. 지금 생각해봐도 그렇다. 잃을 것이 과연 내가 이렇게 두려워하면서 전전긍긍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 다시 생각해보면 잘 모르겠다.

가장 잃을까봐 두려워야 할 것은 나 자신인데 그걸 너무 오래 잊고 살았다.





Thursday, January 17, 2019

최근

1
휴가 중에 갑자기 딜이 떠서 그거 마무리하던 게 어제 내 손을 떠남
물론 손을 떠났지만 다시 돌려받아 몇 번 백앤포스 해야겠지만.

전체 시장에서 한국 영화는 커졌는데, 이 업계에서 한국 영화는 여전히 작아서 힘들다.



2
몸살기운이 온다
토요일에 시험인데...



3
물건들을 하나하나 정리중
시원섭섭하기도 하고
버릴 때 드는 쾌감이 생각보다 크다

Wednesday, January 9, 2019

운동

최근에 하루 만 보라도 걸으려고 노력중이다.

주말에는 합정 오고가면 걸을 수 있지만, 평일에는 이게 좀 힘들다.
아침에 트레드 밀을 타거나 아니면 따로 걸어야 하는데, 이게 수요일이나 목요일 정도가 되면 정말 힘들다.

평소에는 새벽 운동을 해서 그 때 조금 더 하면 되니까 어떻게 해서라도 채울 수 있는데, 수요일에는 도저히 아침에 일어나기가 힘들다. 운동한 기록들을 봐도 월화 목금은 어찌저찌 가는데 수요일에 간 날은 정말 찾기가 어렵다. 그래서 저녁에라도 마음잡고 운동을 해야 할 것 같다. 평일에는 약속 잡지 말고 운동을 하거나 차라리 잠을 자야지. 다행인 건 작년 말부터 잠이 좀 늘었다. (평균시간 5시간 내외로) 이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도 중요할 것 같다.



먹는 걸 워낙 좋아해서 식이는 어렵겠지만, 가기 전까지 체력은 기르려고 한다. 그간 밖에서 움직이며 일하다가 앉아만 있으려니 온몸이 녹아내리는 걸 실감했던지라.



오늘은 나가서 조거팬츠 하나를 사고, 그리고 저녁에는 뛸 계획이다.



하나하나씩 하다보면 뭐 어떻게든 되겠지. 멀리 보지 말고 가까이서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할 것.

Tuesday, January 8, 2019

2019

2019년이 왔지만, 새로운 해가 온 게 별 의미가 없다. 
그저 유학을 가는 해가 왔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그냥 똑같은 하루다.

뭐 특별한 계획도 생각해보지 못했다.

여행가서 좀 생각해본 것들이라면


근력운동 매일 15분씩
허리 스트레칭 매일 아침
커피 하루 네 잔 이하
회사에서 물 1잔 이상 마시기
점심시간에 15분 걷기


결국 다 건강이다.
나 자신이 더 단단해질 수 있는 것들로.

앞으로 어떻게 살 지는 그 때 가서 생각하면 되겠지.
생각해보면 계획대로 된 것보다 계획을 항상 한 끗씩 벗어나는 삶이었고,
그 삶들이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


책을 몇 권 읽고, 뭘 더 공부하고 언어를 하나 더 하면 뭐 좋겠지만,
나한테는 결국 내가 최고인것 같다.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것들.